'개발의 흔적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어플리케이션 특정 페이지만 404 error (0) | 2021.01.14 |
---|---|
네이버 클라우드 web was db 서버 한 서버로 구축하기-3 (0) | 2021.01.14 |
네이버 클라우드 web was db 서버 한 서버로 구축하기-2 (0) | 2021.01.14 |
네이버 클라우드 web was db 서버 한 서버로 구축하기-1 (0) | 2021.01.14 |
웹 어플리케이션 특정 페이지만 404 error (0) | 2021.01.14 |
---|---|
네이버 클라우드 web was db 서버 한 서버로 구축하기-3 (0) | 2021.01.14 |
네이버 클라우드 web was db 서버 한 서버로 구축하기-2 (0) | 2021.01.14 |
네이버 클라우드 web was db 서버 한 서버로 구축하기-1 (0) | 2021.01.14 |
[오류] java.lang.IllegalArgumentException: Mapped Statements collection does not contain value for xxxMapper (0) | 2018.05.31 |
---|---|
[오류] Current request is not of type [org.springframework.web.multipart.MultipartHttpServletRequest] (0) | 2018.05.31 |
[spring]Ajax 통신과 일반 통신 비교 (0) | 2018.05.30 |
java, eclipse 환경설정 (0) | 2016.01.22 |
자바 용어 정리 (0) | 2016.01.20 |
[오류] Current request is not of type [org.springframework.web.multipart.MultipartHttpServletRequest] (0) | 2018.05.31 |
---|---|
야후 환율 API 예제 (0) | 2018.05.30 |
java, eclipse 환경설정 (0) | 2016.01.22 |
자바 용어 정리 (0) | 2016.01.20 |
자바란 무엇인가 (0) | 2016.01.20 |
WKT : geometry를 텍스트형태로 표현것, 공간객체와 공간 참조간의 변화 표준(OGC표준),
DB간에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고 저장함.
지역 경계 구분(행정동과 법정동) (0) | 2018.05.30 |
---|
웹 접근성 점검 규칙
가) 대체 택스트 제공
① <img>태그의 alt 속성 제공 여부 - alt 속성의 정확성은 판단하지 않음
- alt 속성이 없고 longdesc도 제공하지 않으면 불합격
- alt 속성을 제공하면 합격으로 평가 예를 들어, 속성으로 null 값을 제공(alt="")하더라도 합격, 부적합한 속성 값을 제공(alt= "....")하더라도 합격
② <area>태그의 alt 속성 제공 여부 - alt 속성의 정확성은 판단하지 않음
- alt 속성이 없고 longdesc도 제공하지 않으면 불합격 예를 들어, 속성으로 null 값을 제공(alt="")하더라도 합격, 부적합한 속성 값을 제공(alt= "....")하더라도 합격
③ <input> type="image" 태그의 alt 속성 제공 여부 - alt 속성의 정확성은 판단하지 않음
- alt 속성이 없고 longdesc도 제공하지 않으면 불합격 예를 들어, 속성으로 null 값을 제공(alt="")하더라도 합격, 부적합한 속성 값을 제공(alt= "....")하더라도 합격
④ <applet> 태그의 alt 속성 제공 여부 - alt 속성의 정확성은 판단하지 않음
- alt 속성이 없고 longdesc도 제공하지 않으면 불합격 예를 들어, 속성으로 null 값을 제공(alt="")하더라도 합격, 부적합한 속성 값을 제공(alt= "....")하더라도 합격
나) 제목제공
① 웹문서의 <title>태그의 '유효한 값'의 제공 여부
- 문서에 <title> 태그가 없으면 불합격
- 문서에 <title> 태그가 있으나 값이 null("")이거나 white space(\n, \r, \t, " " 등)이면 불합격
※ 여기서 유효한 값이란 공백문자가 아닌 한영문 문자열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.
② <frame>태그의 title 속성 제공 여부 - title 속성의 정확성은 판단하지 않음
- <frame> 태그에 title 속성 제공 안 하면 불합격
- <frame> 태그에 title 속성 있으나 값이 null("")이거나 white space(\n, \r, \t, " " 등)이면 불합격
③ <iframe>태그의 title 속성 제공 여부 - title 속성의 정확성은 판단하지 않음
- <iframe> 태그에 title 속성 제공 안 하면 불합격
- <iframe> 태그에 title 속성 있으나 값이 null("")이거나 white space(\n, \r, \t, " " 등)이면 불합격
다) 기본언어정의
① <html> 태그의 lang 속성을 제공 여부
- <html> 태그에 lang 속성 제공 안하면 불합격
- lang 속성을 제공하더라도 속성값이 ISO 표준에서 정의한 언어 또는 확장 언어가 아니면 불합격
※ K-WAH4.4에서는 'EN-US'와 같이 기본 언어를 확장한 언어 규칙에 대응하도록 개선하였습니다. 따라서 K-WAH4.4은 기존 버전보다 더 정확한 기본언어 평가가 가능합니다. 아울러 오류 유형을 확장하여 '기본언어 미제공'과 제공하는 기본언어 코드가 잘못된 경우를 의미하는 '기본언어 오류'로 세분화하였습니다.
② DTD 형식에 따른 기본 언어 제공 방법을 평가
- html 4.01/html5
<html> 태그에 lang 속성을 제공하지 않으면 불합격(기본언어 미제공)
lang 속성을 제공하지만 속성값이 ISO 표준에서 정의한 언어 또는 확장언어가 아니면 불합격(기본언어 오류)
- xhtml 1.0/xhtml 1.1
<html> 태그에 lang 속성과 xml:lang 속성을 둘 다 제공하지 않으면 불합격(기본언어 미제공)
lang 또는 xml:lang 속성을 제공하지만 속성값이 ISO 표준에서 정의한언어 또는 확장언어가 아니면 불합격(기본언어 오류)
라) 새창열림 사전공지
① <a> 태그를 이용한 새창 열기시에 사전 경고 제공 여부
- <a> 태그에서 target 없으면 합격
- <a> 태그에서 target="_blank" 이면 합격
- <a> 태그에서 target="_self" 이면 합격
- <a> 태그에서 target="_top" 이면 합격
- <a> 태그에서 target="_parent" 이면 합격
- <a> 태그에서 target="프레임명" 이면 합격
이 외의 경우에
- title 속성이 "창", "윈도", "window" 등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- 링크텍스트가 "창", "윈도", "window" 등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- <a> ... <img alt=" ">... </a>와 같이 <a> 로 둘러쌓인 이미지 태그의 alt 속성이 "창","윈도","window" 등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- 이외에는 불합격
- onclick = window.open( ) 과 같은 소스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winodw.open( )의 파라메터가 "_blank", "_self", "_parent", "_top" 중의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② <area> 태그를 이용한 새창 열기시에 사전 경고 제공 여부
- <area> 태그의 target 없으면 합격
- <area> 태그의 target="_blank" 이면 합격
- <area> 태그의 target="_self" 이면 합격
- <area> 태그의 target="_top" 이면 합격
- <area> 태그의 target="_parent" 이면 합격
- <area> 태그의 target="프레임명" 이면 합격
이 외의 경우에
- title 속성이 "창","윈도","window" 등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- alt 속성이 "창","윈도","window" 등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- 이외의 경우는 불합격
- onclick = window.open( ) 있을 때 winodw.open()의 파라메터값 중 "_blank", "_self", "_parent", "_top" 중의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면 합격
마) 레이블제공
① <input> 요소에 레이블 또는 title 제공 여부 - 레이블 또는 title의 정확성 여부는 판단하지 않음
- <input> 태그의 id="..." 속성 값이 label for = "..."로 선언되었으면 합격
- <input> 태그의 title 속성을 제공하면 합격(id제공시에도 title 우선 적용)
- <input> 태그의 title 속성을 제공하나 빈 문자열이면 불합격(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)
- <label><input .../></label> 과 같이 label 태그내에 input 태그를 포함시킨 암묵적 방법은 합격
② <textarea> 요소에 레이블 또는 title 제공 여부 - 레이블 또는 title의 정확성 여부는 판단하지 않음
- <textarea> 태그의 id="..." 속성 값이 label for = "..."로 선언되었으면 합격
- <textarea> 태그의 title 속성을 제공하면 합격(id제공시에도 title 우선 적용)
- <textarea> 태그의 title 속성을 제공하나 빈 문자열이면 불합격(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)
- <label><input .../></label> 과 같이 label 태그내에 input 태그를 포함시킨 암묵적 방법은 합격
이외의 경우 불합격
③ <select> 요소에 레이블 또는 title 제공 여부 - 레이블 또는 title의 정확성 여부는 판단하지 않음
- <select> 태그의 id="..." 속성 값이 label for = "..."로 선언되었으면 합격
- <select> 태그의 title 속성을 제공하면 합격(id제공시에도 title 우선 적용)
- <select> 태그의 title 속성을 제공하나 빈 문자열이면 불합격(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)
- <label><input .../></label> 과 같이 label 태그내에 input 태그를 포함시킨 암묵적 방법은 합격
이외의 경우 불합격
바) 마크업 문법
① 아이디 중복 선언
- 한 페이지에서 동일한 아이디를 중복 사용하면 오류
② 속성 이름 선언
- 한 페이지에서 속성 이름을 중복 사용하면 오류
③ 태그 열고 닫음
- 태그 열고 닫음이 일치하지 않으면 오류
④ 닫는 태그 누락
- 여는 태그에 대한 닫는 태그가 없으면 오류
⑤ 여는 태그 누락
- 닫는 태그에 대한 여는 태그가 없으면 오류
⑥ 태그의 정확한 중첩 관계
- 태그의 열고 닫는 순서의 중첩 관계가 엇갈리면 오류
google traslate 구버전에서 자동 번역 기능 추가 하는 방법 (1) | 2019.02.12 |
---|---|
[jQuery] 여러 건의 ajax 통신 (2) | 2018.08.29 |
CSS정리 (0) | 2016.02.22 |
HTML정리 (0) | 2016.02.22 |
JQuery 선택자의 종류(HTML 태그명, ID명에 접근하는 방법) (0) | 2016.02.01 |
[에러] ORA-31011: XML 구문 분석을 실패함 (0) | 2018.05.31 |
---|---|
[에러] oracle 패키지(프로시저)에서 유저명.테이블 적용 후 컴파일 에러 (0) | 2018.05.31 |
데이터 베이스 명명 규칙(Database Naming Rule) (0) | 2016.03.18 |
IE표기법 (0) | 2016.03.09 |
Oracle TNS 설정 및 적용(DB접속) (0) | 2016.01.25 |
접미사 | 내용 | 설명 |
_CD | CODE | 주로 코드 테이블의 코드 , 각종 코드에 사용된다 . 숫자나 문자로 이루어진 코드에 해당되며 , 숫자나 문자의 각 부분이 의미가 있는 경우에 코드를 사용한다 . 대부분 PK 에 해당한다 . 예 ) 대분류 코드 CTGRY_CD, 시도코드 SIDO_CD, 사용자 그룹 코드 USER_GROUP_CD 등 |
_NM | NAME | 코드에 대한 명칭에 주로 사용된다 . 논리명이 이름 , 명칭인 경우에 해당된다 . 예 ) 사용자이름 USER_NM, 자원명 RES_NM, 중분류 코드명 DVSN_NM, 메뉴명 MENU_NM |
_NO | NUMBER | 숫자로만 이루어진 경우 , 주로 논리명이 번호인 경우에 사용. 예 ) 주민등록번호 JUMIN_NO, 조문번호 JO_NO, 게시물번호 BOARD_NO |
_SQ | SEQUENCE | 오라클의 Sequence, MSSQL 의 Identity 의 경우에 사용한다 . 숫자 일련번호로 PK를 설정할 경우 SQ 를 사용한다 . MSSQL의 Identity의 경우 주로 _ID 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, 사용자 아이디 – USER_ID의 ID 와 의미가 틀려 SQ 를 사용한다 . 예 ) 작업번호 WORK_SQ, 이력번호 HISTORY_SQ |
_ID | ID | 주로 사용자 아이디의 경우에 사용한다 . 예 ) 사용자아이디 USER_ID, 등록자아이디 REG_ID |
_DT | DATE | 날짜의 경우 사용한다. DT 는 날짜 타입이 DATE형인 경우에만 사용한다. 보통 날짜의 경우 CHAR(8)형으로 20050718 식으로 저장을 많이 한다 . 이런 경우에는 _YMD를 사용한다. 예 ) 삭제일자 DEL_DT, 변경일자 CHG_DT |
_YMD | YYYYMMDD | 날짜의 경우 사용한다. 날짜 타입이 CHAR 인경우 사용한다 . 년월일인 경우 _YMD를 사용하고 , 년월형식으로 CHAR(6) 로 저장될 경우 _YM을 사용한다. 년도 , 월 , 일자 인경우에는 YEAR, MONTH, DAY 등의 컬럼명을 사용한다 . |
_GB | 구분 | 구분값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. CD 는 주로 코드테이블을 별도로 사용할 때 적당하고, 테이블 없이 코드상에서 구별할 때 사용한다 . 가령 사용자구분 필드가 있을 때 일반사용자 , 내부사용자가 있다면 별도의 사용자 그룹테이블로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GROUP_CD가 필드명이 되지만, 코드상에서 일반 (G), 내부 (I) 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GROUP_GB 필드명을 사용하면 된다 . 예 ) 통계구분 STAT_GB |
_ST | STATE | 상태값이다 . 주로 CHAR(1) 형식을 사용한다 . 예 ) 사용자 상태 USER_ST |
_FL | FLAG | 플레그값이다 . 종종 삭제하지 않는 테이블에 삭제플레그를 많이 사용된다 . 값은 0/1 이나 Y/N를 많이 사용한다. 예 ) 삭제여부 DEL_FL, 요청여부 REQ_FL |
_ORD | ORDER | 순서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. 예 ) 컬럼순서 COLUMN_ORD |
_CNT | COUNT | 예 ) 조회수 VIEW_CNT |
_AMT | AMOUNT | 예 ) 재고량 STOCK_AMT |
_SUM | SUM | 예 ) 분기합계 QTR_SUM, 년도합계 YEAR_SUM |
기능명 | 명칭 | 설명 |
INS | INSERT | 단일 테이블의 단순 INSERT 작업인 경우 , 사용자 테이블에 데이터 입력 프로시저의 경우 업무룰이 복잡하여 여러 테이블에 걸쳐 삽입 작업이 된다면 ( 서버측 트랜잭션이 구현된다면 ) INS를 사용하지 않고, REG 를 사용한다 . |
UDT | UPDATE | 단일 테이블의 단순 UPDATE 작업의 경우 |
DEL | DELETE | 단일 테이블의 단순 삭제인 경우 |
LST | LIST | SELECT 문을 사용하여 조회하는 경우 |
REG | REGISTER | 등록작업 –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여러 테이블에 입력 작업이 이루어질 때 |
MOD | MODIFY | 수정작업 –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여러 테이블에 수정 작업이 이루어질 때 |
REM | REMOVE | 삭제작업 – 트랜잭션을 사용하여 여러 테이블에 삭제 작업이 이루어 질 때 |
[에러] ORA-31011: XML 구문 분석을 실패함 (0) | 2018.05.31 |
---|---|
[에러] oracle 패키지(프로시저)에서 유저명.테이블 적용 후 컴파일 에러 (0) | 2018.05.31 |
Oracle 비밀번호 만료(the password will expire within) (0) | 2016.03.21 |
IE표기법 (0) | 2016.03.09 |
Oracle TNS 설정 및 적용(DB접속) (0) | 2016.01.25 |
[에러] ORA-31011: XML 구문 분석을 실패함 (0) | 2018.05.31 |
---|---|
[에러] oracle 패키지(프로시저)에서 유저명.테이블 적용 후 컴파일 에러 (0) | 2018.05.31 |
Oracle 비밀번호 만료(the password will expire within) (0) | 2016.03.21 |
데이터 베이스 명명 규칙(Database Naming Rule) (0) | 2016.03.18 |
Oracle TNS 설정 및 적용(DB접속) (0) | 2016.01.25 |
[jQuery] 여러 건의 ajax 통신 (2) | 2018.08.29 |
---|---|
웹 접근성 점검 규칙(웹 접근성 오류 해결 방안) (1) | 2016.03.22 |
HTML정리 (0) | 2016.02.22 |
JQuery 선택자의 종류(HTML 태그명, ID명에 접근하는 방법) (0) | 2016.02.01 |
input 박스 name과 id의 차이 (0) | 2016.02.01 |